기존 분석시스템보다 저렴하고 재현성이 뛰어나
신경전달 과정을 조절하는 화합물 발굴, 개발, 검증에 활동 기대
 
[과학 = 로컬파워뉴스] 김선재 기자 = 국내연구진이 인간 신경세포들 사이에서 신호를 전달하는 과정인 ‘시냅스소낭 막융합’을 안정적으로 분석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신경전달 과정에 대한 이해는 물론 보톡스 같은 신경전달에 관여하는 물질의 발굴을 위한 핵심도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생명과학부 전영수 교수(교신저자)가 주도하고 고영준, 이미리암 연구원(공동 제1저자)이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췬하는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과 GIST 바이오광학영상엔터연구사업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미국국립학술원회보(PNAS, 논문명 : In Vitro assay using engineered yeast vacuoles for neuronal SNARE-mediated membrane fusion) 온라인판 5월 12일자에 게재됐다.
1.jpg

 신경세포 간의 신호전달의 핵심은 신경세포 안에 존재하며 다양한 신경전달물질을 담고 있는 시냅스소낭이 신경세포의 막과 융합하는 과정이다(그림1). 신경전달물질 연구에서 시냅스소낭 막융합 과정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신경세포의 생체막을 이용하는 것이 좋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분석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는 합성리포좀을 이용하는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합성물질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2.jpg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사람의 스네어 유전자를 가진 효모를 제작하고 인간 시냅스소낭 막융합을 모방한 효모 액포 사이의 막융합 반응을 시험관에서 구현해냈다(그림2).
 
3.jpg

 이런 방식은 효모에서 매번 동일한 스네어 단백질을 가진 액포를 분리, 정제할 수 있어 기존 분석시스템의 재현성 문제를 극복할 수 있고 효모는 대량 배양에 유리하기 때문에 화합물 발굴 등 대규모 스크리닝 연구에 응용할 수 있다.
 
 한편, 효모의 액포막융합 과정은 인간신경세포의 시냅스소낭 막융합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보톡스에 의하여 반응이 억제됐다(그림3).
 
4.jpg

 전영수 교수는 “개발된 분석시스템이 인간의 시냅스소낭 막융합의 특성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어 보톡스 효능개선, 대체물 개발 등 다양한 연구활동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seoyun@ilpn.tv <저작권자 ⓒ LPN로컬파워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5.jpg


 
 

저작권자 © KMS 한국인터넷신문방송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